국민건강보험공단·정부24에서 간편하게 확인하는 법
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는 연말정산, 종합소득세 신고, 학교 제출 등 다양한 용도로 자주 요구되는 문서입니다.
PC나 모바일을 통해 직접 출력하거나 팩스로 수령하는 방법도 있으며, 온라인 서비스만 잘 활용하면 직접 방문할 필요도 없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, 정부24, 무인민원발급기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를 출력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드립니다.
PC에서 출력하는 방법
-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
- 공동인증서/간편인증으로 로그인
- '민원여기요 → 개인민원 → 증명서 발급 → 보험료 납부확인서' 선택
- 용도, 기간, 국문/영문, 건강/장기요양 선택
- 조회 및 출력 (PDF 파일은 생년월일 또는 사업자번호로 잠금됨)
- 공동인증서/간편인증으로 로그인
- '민원여기요 → 개인민원 → 증명서 발급 → 보험료 납부확인서' 선택
- 용도, 기간, 국문/영문, 건강/장기요양 선택
- 조회 및 출력 (PDF 파일은 생년월일 또는 사업자번호로 잠금됨)
정부24에서 발급받기
- 정부24 홈페이지 접속 및 로그인
- 검색창에 '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' 입력
- 신청 버튼 클릭 후 발급 신청
- My GOV 메뉴에서 확인 및 출력
- 검색창에 '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' 입력
- 신청 버튼 클릭 후 발급 신청
- My GOV 메뉴에서 확인 및 출력
기타 발급 경로
발급 방법 | 장점 | 단점 |
방문 발급 | 즉시 원본 수령 가능 | 시간 소요, 근무시간 내 필요 |
팩스 발급 | 전화 한 통으로 가능 | 개인정보 유출 우려 |
모바일 앱 | 24시간 신청 가능 | 출력 불가, 팩스로만 전송 |
발급 시 유의사항
- 납부 확인은 2~3일 지연될 수 있음
- 피부양자는 발급 대상 아님
- 연말정산용 등 용도에 따라 설정 변경 필요
- 업무 시간 외엔 시스템 점검으로 제한될 수 있음
- 피부양자는 발급 대상 아님
- 연말정산용 등 용도에 따라 설정 변경 필요
- 업무 시간 외엔 시스템 점검으로 제한될 수 있음
Q&A 정리
Q1. 보험료를 자동이체로 냈는데 바로 확인이 안 돼요?
납부 정보 반영까지 보통 2~3일 소요되므로 시간차가 있습니다.
Q2. 사업자용 납부확인서도 같은 방법인가요?
사업장은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에서 따로 발급받아야 합니다.
Q3. 모바일에서는 바로 출력이 안 되나요?
The건강보험 앱에서는 팩스 전송은 가능하지만 직접 출력은 어렵습니다.
요약 카드뉴스
🖨️ PC에서 바로 출력 가능해요
📱 모바일은 팩스 전송만 가능